조선해운

중소형 컨테이너 선박 발주 상황 진단(ft. HD현대미포)

박선비 parksunbi 2024. 9. 25. 23:18
728x90
반응형
SMALL

컨테이너 선박 중 피더 컨선의 경우에는 선복량 대비 수주잔고 비중이 약 5%에 불과. 그 다음 크기인 Intermediate(3~6k)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 컨선 선주들의 입장에서 참으로 안타까운 점(반대로 국내 조선사 입장에서는 쾌재를 부를 수 있는 점)은,

 

1) 탱커/가스선이 중형 조선사들의 도크에 가득찰 때까지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고선가와 장납기를 자초한 점,

2)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국 정부가 중국 조선업에 대한 규제를 발표하려고 하는데, 하필이면 중국산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규제가 강력할 것으로 보이는 점,

3) 대선조선 등 국내 중형 조선사들이 RG 발급의 어려움, 워크아웃 등의 이슈로 인하여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게 되어, 사실상 국내 중소형 컨선 조선소는 HD현대미포가 유일해졌다는 점,

4) 글로벌 지정학 이슈로 인하여 경제 블록화/탈세계화 현상이 발생할 조짐이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선박은 기존/현재 주력인 대형/초대형이 아닌, 중소형 선박이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

 

마침, 9/25 HD현대미포가 수주한 컨테이너선은 작년에 수주한 선박보다 작은 사이즈로 알려졌는데, 작년에 수주한 컨선을 계약 해지 후 동일한 선사가 재주문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이 상기 4)를 일부 증명한다고도 볼 수 있음 

 

20240904_조선업 리포트_신영증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