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면 소비자들의 소비여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중소형 면적 아파트가 강세를 보일 수 있음. 기사에 언급된 대로 1~2인 가구의 증가세가 커지는 것도 중소형 면적 아파트의 강세 요인 중 하나. 재미있는 점은 전통적으로 중소형 면적 아파트는 투자자들이 좋아하는 물건 중 하나인데, 기사 말미에 보면 실수요자가 많아 타 면적보다 안정성이 높다고 함. 오히려 실수요자의 비율은 중대형 면적 아파트가 더 많지 않을까 싶은데...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669330?cds=news_my
중소형 면적 아파트, 갈수록 귀해진다
지난해 아파트 국민평수(전용면적 84m²) 미만 공급 물량이 3만세대 이하로 줄면서 중·소형 면적 품귀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이
n.news.naver.com
반응형
LIST
'건설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피스 핫플'로 떠오른 성수… 2년새 임대료 40% 올랐다 (0) | 2024.02.09 |
---|---|
건설업체 1년새 2000여곳 문 닫아… 임금 체불 1조7845억원 (0) | 2024.02.08 |
서울 입주물량 34년만에 최저…MB시절 암흑기보다 심각 (0) | 2024.02.08 |
"이곳 월세도 100만원 넘다니"…'전세사기' 공포에 확 뛰었다 (0) | 2024.02.08 |
집 3평 줄여도 12억 더 내라고?…“재건축하다 파산하겠네” [부동산360]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