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국가별로 금리 디커플링 현상이 본격화 된듯함. 기사엔 나와 있진 않지만, 일본은 이제 막 금리인상 사이클로 접어들었음.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러-우 전쟁 이후 탈세계화 현상이 본격화되면서, 국가별로 처한 상황에 따라 통화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임.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현재 3.5%인데, 타 국가들 대비 낮은 편으로, 인하할 여력이 없는 것은 사실임. 게다가 최근 유가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금리인하는 시기상조라는 것이 핵심
< 국가별 기준금리 현황 >
스위스: 1.5%
미국: 5.25~5.50%
영국: 5.25%
노르웨이: 4.5%
멕시코: 11%
파라과이: 6%
튀르키예: 50%
https://www.yna.co.kr/view/AKR20240322048600009?input=1195m
스위스, 금리인하 앞장섰다…영국과 달리 '깜짝 조처'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기성 기자 = 스위스 중앙은행인 스위스국립은행(SNB)이 2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전격적으로 인하했다.
www.yna.co.kr
반응형
LIST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엄] 2% 물가 목표를 포기한 연준? 연준이 금리인하를 고집하는 이유 (0) | 2024.03.28 |
---|---|
고승범 “한국만 유일하게 앞으로 금리 내려갈 것" (0) | 2024.03.28 |
"일본은행, 10월에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0) | 2024.03.22 |
뱅가드 "올해 연준 금리 인하 없을 수도" (0) | 2024.03.22 |
일본은행, 17년 만에 금리 인상 0~0.1%…마이너스 금리 종료 (0)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