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동산

총선 후 부동산 하락장 온다

박선비 parksunbi 2024. 4. 16. 23:16
728x90
반응형
SMALL

 

대체적으로 합리적인 내용이 많으나, 몇 가지 부분에 있어서는 의아한 것이 사실

 

1) 인플레이션이 가라앉지 않고 지속되는 현 상황 속에서, 하락장이 추가적으로 더 온다면 전국 부동산 공급 부족은 심화

 

2) 연도별 공급 물량(입주 물량) 감소 효과는 개별 연도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수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됨. 멸실을 감안한 서울 아파트 순 공급 물량(입주 물량)은 ('20) -> 41천호 -> ('21) 26천호 -> ('22) 23천호 -> ('23) 최대 13천호('23년 멸실통계 발표 前)로 최근 4년 간 지속 감소 중

 

3) 대체로 주식쟁이들은 주식 밸류에이션 하듯이 부동산을 밸류에이션 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부동산은 필수재의 성격을 띄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차이가 발생함. 대표적인 것이 금리 상승에 의한 가격 하락인데, 이보다 공급이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금리가 급등하지 않는 한, 현 상황에서 가격 하락은 어려움. 또한,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가 3.5%인데, 2000년대 초반만 해도 5%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렇게 부담스러운 수준까지는 아닐 수도 있음

 

4) 대출 축소에 따른 가격 하락도 언급이 되었는데, '23년에 특례대출이 적용되어 대출이 증가했던 지역들은 오히려 가격이 하락했음(대표적으로 노도강 등). 결국 대출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사실

 

https://www.youtube.com/watch?v=2B6YLrpSTIc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