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2, 미국이 중국 조선소를 제재하는 정책이 공식 발표됨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27943?sid=104
한국에 기회 되나…美, 中상선 입항때마다 수십억원 징수 추진
中 '해양굴기' 견제책…"中선사·제조선박에 거액 수수료 책정" '美선박 애용' 정책 드라이브…내달 공청회 거쳐 확정여부 결론 미국 정부가 세계 조선·해운시장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n.news.naver.com
이 정책은 금일 공식 발표되었으나, 과거에도 이런 낌새를 흘려왔었기 때문에, 눈치 빠른 선사들은 진작에 중국에 발주해오던 탱커 등 저부가(?) 선박까지도 한국 조선소에 발주하기 시작하였음
中이 장악했던 유조선… 올 들어 韓 조선 잇단 수주
中이 장악했던 유조선 올 들어 韓 조선 잇단 수주
biz.chosun.com
DS증권에서는 HD현대미포를, 선주들의 중국 조선소 기피가 시작될 경우 가장 큰 수혜를 받는 조선소로 지목. 중국 조선소들과 경쟁이 가장 강한 중형 선박 건조 조선소이기 때문
Perplexity에 문의한 결과, 미국을 드나드는 PC선의 과반은 MR Tanker. LR Tanker는 24% 정도. 이는 HD현대미포의 주력 선종. 상기 DS의 리포트의 근거가 될 듯함
한편, 유조선은 부정기선이 주를 이루므로, 미국과 엮여있지 않더라도, 미국과 엮일 가능성을 염두하고 발주하여야 함. 따라서, 사실상, 전세계의 모든 중국산 유조선에 대해서 직간접적으로 관세를 부과한다고 보아도 무방한 수준
전세계적으로 보아도, HD현대미포의 주력 선종인 MR/LR Tanker가 석유제품 운송수단의 대부분을 차지
한편, 트럼프가 부과할 예정인 캐나다/멕시코 등 국가들에 대한 관세가 탱커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기술한 하기 블로그 내용을 보면, 전체적으로 탱커의 톤-마일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함. 눈에 띄는 점은, 멕시코가 미국산 석유제품에 대해 보복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이로 인해 1) 미국->멕시코로의 석유제품 수출이 유럽으로 향할 것이며, 2) 그만큼의 멕시코의 석유제품 수입 감소분은 남미, 중동, 서아프리카, 아시아로부터 충당할 것이라는 것. 이 두 가지는 석유제품 톤-마일을 끌어올릴 것으로 보임
https://blog.naver.com/agde-agde/223745585237
미국의 관세가 탱커 운임에 미치는 영향
캐나다 에너지 관세 10%, 멕시코 관세 25%가 확정되었습니다. 캐나다, 멕시코 둘 모두 미국과 원유, 석유제...
blog.naver.com
아쉽게도, 컨테이너선의 경우에는, 미국/글로벌 모두 초대형/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의 운항 비중이 높아, 금번 제재로 인한 HD현대미포의 수혜는 낮을 것으로 보임. 다만, 피더 컨선은 HD현대미포의 주력 선종이 아니기에 상관이 없을 듯함. 또한, 벌커의 경우에도 주력 선종이 아니기에 Pass
'조선해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해군, 30년간 군함 364척 구매 계획...1600兆 예산 필요 (0) | 2025.02.24 |
---|---|
조선업 Valuation에 대한 생각 (0) | 2025.02.24 |
20250113_meritz 항해일지 (0) | 2025.02.21 |
한화오션·HD현대重, MRO 사업 중형조선소와 협력 가능성 (0) | 2025.02.21 |
홍해 막히고 美中 갈등…컨선 대형화 제동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