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입지의 가치가 훨씬 더 높아짐. 과밀화가 진행될수록, 출퇴근 등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스트레스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
2) 용적률이 더 높아짐. 부족한 공급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이기 때문. 지금 용적률이 높다고 해도, 나중에 보면 낮게 느껴질 수 있음
3) 광역교통망이 발달하게 되고, 원형에 가까웠던 가격 등고선이 교통망과 연동되어 복잡한 모습으로 바뀌게 될 것(동탄, 파주, 천안아산 등이 대표적)
4) 가장 중요한 점은, 앞으로의 과밀화의 원인은 경제 발전이 아닌, 지방 소멸이기 때문에, 수도권 전입자들의 소득/재산이 높거나/많지 않을 것. 따라서, 하급지에 대한 수요가 상급지보다 더 높을 것
반응형
LIST
'건설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유니버스 판교 신사옥에서만 가능한 발리에서 런던 한 번에 노는 법[혜성특급] (1) | 2025.05.08 |
---|---|
“전세계약 10년 보장한다”는 정치권…‘규제의 역설’ 우려하는 시장 (0) | 2025.05.08 |
서울 집값 상승폭 더 커졌다…강남-송파-서초 순 (0) | 2025.05.08 |
“비행기 소음도 서러운데 고도제한이라도 완화해주세요”...커지는 공항 규제 완화 목소리 (0) | 2025.05.08 |
[어바웃 G] 한일시멘트, 주주명부 등장한 싱가포르법인 'HHH글로벌' 살펴보니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