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Weekly Monitor: OSP 약세는 아시아 정유사 매수 근거

박선비 parksunbi 2024. 3. 11. 20:57
728x90
반응형
SMALL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Weekly Monitor: OSP 약세는 아시아 정유사 매수 근거

▶ 보고서: https://bit.ly/3Pg8Jxp

[총평]
▶ 유가는 WTI기준 WoW -2.5%를 기록했습니다. 정제마진은 11.1$로 강세 지속 중입니다. 반면, 사우디 4월 OSP는 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화학은 강보합세 입니다. BD/SBR +5%, 유기실리콘 +3%, BPA/가성소다 +2% 등이 눈에 띕니다.

▶ Top Picks는 S-Oil, 금호석유, KCC, 유니드, 효성첨단소재 입니다.

[OSP 약세는 아시아 정유사 매수 근거]
▶ 4월 사우디아람코의 OSP가 Arab Light 기준 1.7$/bbl로 MoM +0.2$ 상승했으나, 여전히 2023년 평균 OSP 3$/bbl 대비 약세 지속. 2023년 평균과 현재의 Dubai 가격이 82$/bbl 수준으로 유사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아시아 정유사의 원가는 확실히 개선 중

▶ 사우디는 아시아 M/S를 다시 확대하기 위해 2024년 OSP를 약세로 유지할 수 밖에 없을 것. 글로벌 투자자 입장에서는 아시아 OSP 약세는 아시아 정유사 매수 근거. 또한 최근 중국 수요 회복도 아시아 정유사 매수 근거

중국의 1~2월 누적 원유 수입량은 1,074만b/d 로 전년 동기 1,040만b/d 대비 +3.3% 증가. 1~2월 누적 석유제품(휘발유, 디젤 등) 수출량은 118만b/d로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 이는 국영 정유업체들이 내수 석유제품 수요 충족을 위해 12월 대비 1~2월 정제설비 가동률을 상향했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현상. 결국, 중국 내수 수요 개선된 영향으로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 가능

인도의 2월 석유제품 소비량은 498만b/d로 YoY +5.7%, MoM +5.1% 증가. 디젤 판매량은 188만b/d로 YoY +6.2%, MoM +6.8% 증가. 인도 제조업 경기 호조 영향. 올해 6월 인도 디젤 수요는 사상 최초로 200만b/d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전망. 인도의 석유제품 순수입 전환 가능성 높아

▶ 결론: 인도/미국 정유사 대비 아시아 정유사 주가 약세의 배경은 1) 높은 원가(=OSP 강세) 2) 중국 수요 부진 등 이었음. 최근 OSP 약세와 중국 수요 회복세가 포착됨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 입장에서 아시아 정유사 매수 근거 확보. 3~9월까지 이어진 러시아의 휘발유 수출금지 조치 감안 시, 4월 이후 본격적인 정제마진 개선세 또 한 번 목격될 것. 3월은 4월 이후를 대비한 정유주 매수구간

**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https://t.me/energy_youn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