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철강비철 106

독점 vs 보호… 열연강판 반덤핑 추진에 철강업계 `시끌`

얼마 전부터 철강제품들의 가격 인상 소식이 조금씩 들려오는 와중에... AD까지 추진한다라... 인도 성장에, 중국 부양까지 붙는다면.. 철강 업황은 반등할 수 있지 않을까? 건설이 발목을 잡을 수도 있겠지만... 오늘 시끌벅적한 K-밸류업 프로그램도 밸류가 저렴한 철강 회사들에는 호재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012902109932031004&ref=naver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4012902109932031004 www.dt.co.kr

철강비철 2024.01.29

1/25 철강금속 News Briefing

1/25 철강금속 News Briefing [하나증권 철강금속/운송 박성봉 02-3771-7774] *중국 철강가격 업데이트* 블룸버그 업데이트 지연으로 중국 상해상품거래소 선물 가격으로 대체 = 열연 +0.8%, 철근 +0.6% 1, 경기 부양 급한 中, 지준율 0.5%p 전격 인하. 유동성 186조원 공급 = 인민은행이 2월 5일부터 지준율 0.5%p 인하를 통해 시장에 약 1조위안(약 186조원) 장기 유동성 공급 의사 밝혀 = 대출우대금리(LPR)을 동결하면서 시장에 실망감이 반영되자 시행된 조치로 중국 정부의 부양 조치가 잇따를지 주목 2, "중국 춘제 연휴 이후 소비 회복 부진하면 추가 부양" = 중국이 지급준비율 전격적으로 인하했지만 아직 지준율 7.4% 높은 수준이라 추가 부양에 대한 기대..

철강비철 2024.01.25

1/18 철강금속 News Briefing

1/18 철강금속 News Briefing [하나증권 철강금속/운송 박성봉 02-3771-7774] *중국 철강가격 업데이트* 블룸버그 업데이트 지연으로 중국 상해상품거래소 선물 가격으로 대체 = 열연 +0.2%, 철근 +0.5% 1, 中리창 '부양책 없는 성장' 강조 = 블룸버그에 따르면, 리창 중국 총리가 단기적인 성장 회복을 위해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쓸 생각이 없다고 밝혀 = 지난해 부동산 개발투자가 전년대비 10% 줄었음에도 중국 정부는 대규모 부양책에 대한 단호한 입장 고수 중 → 당분간 철광석 및 벌크선 운임은 조정 받을 가능성이 있음. 중국의 침체 지속 덕분(?)에 홍해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될 여지가 생김 2, 포스코, 2월 비조선향 후판 공급가격 인상 = 포스코가 2월 비조선향 후판 공..

철강비철 2024.01.19

1/16 철강금속 News Briefing

1/16 철강금속 News Briefing [하나증권 철강금속/운송 박성봉 02-3771-7774] *중국 철강가격 업데이트* 블룸버그 업데이트 지연으로 중국 상해상품거래소 선물 가격으로 대체 = 열연 +0.3%, 철근 +0.2% 1, 중국 1월 초순 일일조강생산량 반등 = 중국 철강협회 회원사들의 1월 초순 일일조강생산량 202만톤으로 12월 말 대비 21% 증가 = 최대 철강사 바오우를 비롯한 주요 철강사들이 연말 유지보수를 마치고 재가동에 들어간 영향 2, 포스코, 1월 이어 2월도 내수 열연價 인상 = 포스코가 오는 2월 계약분부터 내수 열연 공급가격 톤당 5만원 인상 결정하면서 두 달 연속 판가 올려 = 철광석 등 원부자재 가격이 높은 수준이고 중국산 열연 오퍼가격 고려하면 인상 불가피하단 입장..

철강비철 2024.01.17

1/15 철강금속 News Briefing

1/15 철강금속 News Briefing [하나증권 철강금속/운송 박성봉 02-3771-7774] *중국 철강가격 업데이트* 블룸버그 업데이트 지연으로 중국 상해상품거래소 선물 가격으로 대체 = 열연 -0.1%, 철근 -0.2% 1, 2023년 중국 철강 수출, 7년 만에 최대치 기록 = 2023년 중국 철강재 수출량이 전년대비 36.2% 증가한 9,026만톤 기록하며 7년 만에 최대치 기록 = 위안화 약세로 가경경쟁력 높아진 가운데 중국 내수 부진으로 현지 철강사들이 수출에 주력한 결과 2, 유럽 철강사들, 고로 재가동 시작 = 유럽 철강사들이 2023년 철강가격 부진으로 운영 중단했던 고로들 서서히 재가동 돌입 = 홍해 물류 차질로 수입재 유입 제한되며 유럽 내 철강재 가격 반등하자 아르셀로미탈 등..

철강비철 2024.01.15

1/10 철강금속 News Briefing

1/10 철강금속 News Briefing [하나증권 철강금속/운송 박성봉 02-3771-7774] *중국 철강가격 업데이트* 블룸버그 업데이트 지연으로 중국 상해상품거래소 선물 가격으로 대체 = 열연 -1.2%, 철근 -1.5% 1, 2024년 중국 철근 생산, 수요 모두 하락 전망 = Mysteel, 2024년 중국 철근 생산량은 전년비 2% 감소한 2.51억톤, 수요는 2.4% 감소한 2.49억톤 전망 = 5G,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신규 인프라에 투자 집중돼 철근 비중이 높은 전통적인 인프라 투자는 다소 부진 예상되기 때문 2, 연초 가격 지지부진. 中 열연 오퍼價 약보합 = 중국산 1급밀의 열연코일 한국향 수출 오퍼가격이 톤당 604달러로 전주대비 3.5달러 인하 제시 = 중국 동절기 동안 예상보..

철강비철 2024.01.11

철스크랩 반등…제강사 가격인상 ‘힘’ 받는다

철스크랩 가격은 바닥을 다지고 상승 중. 이에 따라 철근 가격도 연동되어 오를 수 밖에 없음. 결국 공사비는 당분간 더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 https://www.ebn.co.kr/news/view/1607794/?sc=Naver 철스크랩 반등…제강사 가격인상 ‘힘’ 받는다 새해 톤당 1만5000원 오르며 40만원선 되찾아원가연동제 적용되는 철근·형강 가격도 오를듯건설경기 부진 지속으로 인상폭 제한적 전망도한 달간 정체됐던 철스크랩 가격이 반등하기 시작하면 www.ebn.co.kr

철강비철 2024.01.09

수주잔고만 6조원…LS전선·대한전선, 생산능력 확대 시동

사이클 산업은 Capa 증설이 진행되면서 서서히 공급 과잉으로 접어들게 됨. 민간 위주의 투기적 발주 수요가 아닌, 공공 위주의 실수요적 발주 수요가 이번 전선 사이클의 메인인 만큼, 수급 불균형은 의외로 단기간에 끝날 가능성 존재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644179?cds=news_my 수주잔고만 6조원…LS전선·대한전선, 생산능력 확대 시동 국내 전선업계가 올해 대형 수주에 잇따라 성공하면서 수주 잔고를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유럽 등 판매 시장을 넓히면서 각 사의 수주 잔고는 이미 수조원대를 넘어설 정도다. 전선 n.news.naver.com

철강비철 2023.12.2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