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IT 43

'중동의 봄' 노리는 네이버, 사우디 DX수요 '정조준'

네이버가 올해 1분기 이후에 사우디 현지법인 설립 예정. 지난해에는 사우디로부터 1억 달러 규모 수주를 받은 바 있음. 가상 환경에 현실의 모습을 그대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에 집중하는 모습임 https://n.news.naver.com/article/629/0000260741?cds=news_my '중동의 봄' 노리는 네이버, 사우디 DX수요 '정조준' 네이버, 이르면 1분기 내 사우디 현지 법인 설립 연초부터 채선주 대표 등 관계자 사우디 출장 '네옴시티' 수주도 도전장 네이버가 자체 디지털전환(DX) 기술력과 인공지능(AI) 등을 앞세워 중동 n.news.naver.com

IT 2024.01.15

삼성전자의 영업이익과 주가에 대한 생각

삼성전자의 연도별 영업이익(억원) : ('18년) 588,867 → ('19년) 277,685 → ('20년) 359,939 → ('21년) 516,339 → ('22년) 433,766 → ('23년E) 65,400 → ('24년E) 351,108 https://www.yna.co.kr/view/AKR20240109028151527?input=1195m [2보] 삼성전자 작년 영업이익 6.5조원…15년만의 최저치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지난해 반도체 업황 바닥을 통과하면서 15년 만에 가장 적은 연간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www.yna.co.kr 주가가 1년 후의 이익을 선반영한다고 보면, '20년 폭등 장세를 설명할 수 있음 '24년 증익이 예상되면서..

IT 2024.01.10

에스원

IT(?) 기업 에스원의 주가는 역사적 저점에서 최근 반등 중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2021년 단기 저점을 찍고 다시 우상향 중 부채비율은 30%대로 낮은 편이며, PER 14배, PBR 1.27배로 성장주(?) 치고는 낮은 편 성장주로 분류하는 이유는 1) 1기/3기 신도시 신축 아파트 보안 수요 증가, 2) 국내 묻지마 범죄 증가에 따른 보안 수요 증가, 3) 배터리 등 국내 신규 공장 증설로 보안 수요 증가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 배당 수익률은 약 4%로 준수한 편

IT 2024.01.01

'블프' 낀 성수기에도 TV 안팔려…올해 글로벌 출하량 감소 예상

올해 글로벌 TV 출하량은 작년 대비 2.1% 감소, 내년에는 올해 대비 0.2% 증가 전망. 삼성과 LG의 올해 TV 출하량은 작년 대비 각각 9.8%, 7.4% 감소 전망. 금리가 인하된다고 해서 즉각적인 수요 반등은 어렵지 않을까.. 0.2% 증가를 반영하기엔 주식 시장이 과열된 것은 아닌지... 물론 섹터, 국가에 따라서 오르지 않은(혹은 떨어진) 종목들이 많아서 일률적으로 말하기엔 어려운 시점...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94301?cds=news_my '블프' 낀 성수기에도 TV 안팔려…올해 글로벌 출하량 감소 예상 트렌드포스 "작년보다 2.1% 감소…내년 TV 수요도 불투명" LG전자 HE본부 4분기 적자 전망도…성장 정체에 돌파구는 '플랫..

IT 2023.12.18

AI가 일자리 위협…美 기업 44% "내년에 해고"

어쩌면 AI의 발전으로 인해 세계는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디플레이션 시대로 접어들 수도 있을 것 같음. 우리가 멀리해야할 것들 중 하나가 바로 직선적인 사고방식인데, 과거처럼 미래에도 물가가 계속 오르리라는 법은 없음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139495?type=editd&cds=news_edit AI가 일자리 위협…美 기업 44% "내년에 해고" 인공지능(AI)이 일자리를 대체하면서 이로 인한 해고가 발생할 것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CNBC 방송에 따르면 미 구인 플랫폼 레주메빌더(ResumeBuilder)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 n.news.naver.com

IT 2023.12.18

스트림플레이션(Streamflation)

모든 것이 다 오르는 시대. 이제는 친구들끼리 모여서 넷플릭스/유튜브 등을 같이 보는 시대가 올 지도..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04600?cds=news_edit 넷플릭스 신규 가입자 ‘월9500원 요금제’ 못쓴다...사실상 요금 인상 넷플릭스가 광고를 보지 않고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월 9500원짜리 요금제(베이식 요금제)를 우리나라에서 없앴다. 이에 신규 가입자들이 광고가 붙지 않은 콘텐츠를 즐기려면 최소 1 n.news.naver.com

IT 2023.12.13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 43% 인상

보통 IT 기업이라 하면 빅테크와 플랫폼기업을 뭉뚱그리는 경향이 있는데, 이 두 그룹은 명확히 구분할 필요. 빅테크는 강력한 가격 전가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플랫폼기업은 대체로 그렇지 못함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971784?sid=105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 43% 인상…아이폰은 1만9500원까지 유튜브가 국내에서 유료 구독 서비스 '유튜브 프리미엄' 가격을 43% 인상했다. 2020년 9월 이후 약 3년 만의 가격 인상이다. 장기 고객도 약 3개월 유예 후 새로운 요금제를 사용해야 한다. 유튜브는 n.news.naver.com

IT 2023.12.09

올해 전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단어

챗GPT. 사용해보니 문장에 군더더기가 많고, 출처가 명확하지 않아 공식적으로 사용하긴 어려울 듯 하나.. 퀵하게 참고용으로 사용하기엔 나쁘지 않을 듯..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137863?cds=news_edit 올해 전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단어 올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오픈AI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가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서 전세계인들이 올해 가장 많이 찾아본 항목에 올랐다. 위키피디아를 운영하는 비영리 n.news.naver.com

IT 2023.12.07

"유럽에선 배터리 탈착형 스마트폰만 팔아라"…삼성 '초비상'

탈착형이 편하고 좋긴 한데.. 예전의 유럽이 아니라.. 메이커들이 말을 잘 들을 지는 미지수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859020?cds=news_edit "유럽에선 배터리 탈착형 스마트폰만 팔아라"…삼성 '초비상' 유럽연합(EU)이 EU 배터리법을 통해 “유럽에서는 배터리를 분리할 수 있는 스마트폰만 팔아야 한다”고 공표했다. ‘배터리 탈착형’ 스마트폰이 친환경적이고 소비자 편의성도 높다는 이유에 n.news.naver.com

IT 2023.06.27

"3400억 수주 잭팟"…사람 대신 응대한 'AI 콜센터' 대박

KT의 신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AI 콜센터 사업이 순항 중인 것으로 보인다. KT의 콜센터 기업인 KTis와 KTcs의 최근 주가가 급등했었는데.. 이 사업 때문이었을까?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858399?cds=news_edit "3400억 수주 잭팟"…사람 대신 응대한 'AI 콜센터' 대박 3422억원. . KT가 올해 확보한 인공지능(AI) 콜센터 프로젝트 수주 규모다. 올해 이 사업으로만 거둬들이는 매출이 1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기술(IT)업계에선 콜센터가 AI를 활용한 n.news.naver.com

IT 2023.06.2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