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Weekly Monitor: 가스/LNG 투자사이클이 10년 이상 이어질 이유

박선비 parksunbi 2024. 9. 14. 15:15
728x90
반응형
SMALL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Weekly Monitor: 가스/LNG 투자사이클이 10년 이상 이어질 이유

▶ 보고서: https://bit.ly/3MotncO

[총평]
▶ 정제마진 약세, 석유화학 혼조세입니다. 천연고무가 6주 연속 상승해 3년 래 최대치를 기록한 점이 눈에 띕니다.

▶ Top Picks는 KCC, 금호석유, 코오롱인더, 유니드, S-Oil 입니다.

[LNG 투자 사이클이 10년 이상 이어질 이유]
가스가격 안정화가 촉발한 미국의 석탄 발전 비중 급감

   - 2023년 미국의 발전원별 발전 비중은 천연가스 43%, 석탄 17%, 원자력 18%, 수력 5%, 신재생 17%

   - 2008~23년까지 15년 간 미국의 발전전력량은 2% 증가에 그쳤으나 발전원별 구성은 2008년부터 드라마틱하게 변화. 석탄 발전 비중 2008년 50%에서 현재 16%로 급감

   - Shale Boom에 따라 Henry Hub가 큰 폭 하락하면서 가스 발전의 경쟁력이 상승했기 때문. 실제, 가스복합발전의 최.저 LCOE는 MWh당 45$로 석탄 발전의 69$ 대비 약 35% 저렴

   - 발전량 기준 2008년 대비 2023년 석탄 발전량은 -1,400TWh 감소했고, 가스 발전이 이 중 70%를 상회하는 약 1,000TWh를 대체
   
▶ 글로벌 석탄 발전 비중은 여전히 높은 편

   - 전 세계 발전원별 발전 비중은 석탄이 35%로 여전히 No.1. 천연가스 23%, 원자력 9%, 신재생 14%

   - 이는 중국과 인도의 석탄 발전 비중이 각각 61%, 75%로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 동남아를 비롯한 주요 아시아의 석탄 발전 비중도 39%

최근 가스/LNG 투자 사이클은 전기화를 대비하면서도 석탄을 대체하려는 목적

    - 글로벌 Super Major는 모두 가스/LNG 투자에 사활을 걸고 있음

    - 이는 당장 데이터 센터 등에서의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인도/중국/동남아 등에서의 석탄 대체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

    - 미국의 사례에서 살펴본 것처럼 석탄 대체를 위해 Super Major들은 LNG를 저렴하게 만들고 이를 통해 현재 전 세계 발전 비중의 35%를 차지하는 석탄을 대체하는 것이 궁극적인 계획

    - 즉, 최근의 가스/LNG 투자사이클은 10년 이상의 장기 계획하에 진행되고 있음

**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https://t.me/energy_youn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