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에너지: (하나증권 X KOTRA) CERAWeek 2024 참관기: Orderly Energy Transition
▶ 보고서: https://bit.ly/3TBqDw2
▶ 미국 에너지 업계의 생각을 담은 Fact 위주의 보고서이기에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Oil Major들의 Energy Transition 전략을 분석하는 것은 시각의 전환과 새로운 투자기회 모색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 생각보다 늦어질 화석연료 수요 Peak Out
- 원유 Peak는 2030년 이후, 가스 Peak는 2040년 이후. The South(남반구)의 인당 소비량 증가 때문
▶ Decarbonization/Electrification을 위한 Orderly Energy Transition 필요: 천연가스/LNG의 중요성
- 북미 전력수요 급증은 가용성/안정성이 높은 화석연료의 필요성을 더욱 확신시키는 계기. 전력업체들은 전력수요 급증에 따른 가스 발전소의 필요성을 언급
- Energy Transition의 긴 여정에서 브릿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천연가스/LNG의 공급 안정성과 그 역할이 매우 중요
- 카타르/미국 중심 LNG 투자의 2nd Wave로 2026~27년 LNG 가격의 하향 안정화 기대
▶ 가스터빈 및 블루수소/암모니아 시장 개화 가능성
- 가스터빈 발전은 신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최적의 역할 가능
- 특히, 수소/암모니아 혼소 발전 비중 증가와 CCS/CCUS 설비 확대는 가스 기반 탈탄소화를 이룰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
- EMX-JERA의 블루수소/암모니아 조달 계약 & JERA, 세계 최초로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20% 암모니아 혼소 테스트 시작
▶ 빌게이츠가 생각하는 에너지 전환
- 휴스턴은 ‘Silicon Valley of Energy’이자 글로벌 에너지 전환을 이끄는 진정한 혁신 허브가 될 것
- 빌게이츠가 창립한 Breakthrough Energy는 특히 DAC, SAF 생산업체 등에 투자
▶ 결론
- 원유/석유제품 관련 수요 지속될 가능성. 글로벌 LNG 투자확대로 중장기 가스가격 안정화 가능성
- 전력 수요 급증, 신재생 에너지의 간헐성 극복을 위해 가스 발전 확대. CCS 결합해 블루수소/암모니아 생산 및 혼소 확대
- 국내 업체 중 CCS/CCUS 관련 기술, 블루수소/암모니아 생산/운반/유통 업체에 대한 관심 필요
**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https://t.me/energy_youn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408_성광벤드_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0) | 2024.04.10 |
---|---|
한국 9.6조 역대급 '잭팟'…그 뒤엔 사우디의 '변심' 있다 [김리안의 에네르기파WAR] (0) | 2024.04.05 |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Weekly Monitor: 엑손모빌의 세계 최대 블루수소/암모니아 프로젝트 (0) | 2024.03.31 |
바이든 IRA 훈풍 탄 씨에스윈드, 트럼프에 제동 걸리나 (0) | 2024.03.21 |
(주)성광벤드 '23.4Q 실적 (0) | 2024.03.11 |